본 포스팅은 함께자라기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함께 파트에서 감명깊게 본 부분, 다시 찾아봐야 할 것 같은 부분들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함께 파트에서는 협력 방법을 배우고 수련합니다. 개선 우선순위 조엘 스폴스키가 만든 개발팀 평가 테스트라는 것이 있습니다. 소스 컨트롤을 사용하는가? 한 번에 빌드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일일 빌드를 만드는가? 버그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는가? 새로운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버그를 고치는가? 최신 업데이트된 스케줄이 있는가? 스펙이 있는가? 프로그래머가 조용한 작업환경에서 일하는가? 돈이 되는 한 최고의 툴을 사용하는가? 테스터가 있는가? 채용 면접 때 후보가 코드를 짜게 해보는가? 복도 사용성 테스트를 하는가? 이 테스트는 한 때 많은 인기와 비판을 받았다고 합니..
본 포스팅은 함께자라기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자라기 파트에서 감명깊게 본 부분, 다시 찾아봐야 할 것 같은 부분들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실수를 대하는 자세 책에서 소개하는 실수 문화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실수 예방과 실수 관리 입니다. 실수 예방은 실수로 가는 경로를 차단하려고 합니다. 이 말을 실무에 대입하면, 수직적인 조직에서 상사가 부하직원에게 "이번에 실수하면 죽어!" 정도가 되겠습니다. 모든 실수를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입니다. 아무리 전문가라고해도 1시간에 평균 3~5개의 실수를 저지른다고 소개되어있습니다. (개인적인 궁금점인데 여기서 말하는 실수가 어떤 것일까요? 개발자로 따지면 실시간으로 오타냈다가 수정하는 것도 포함이 될까요? 전문가가 1시간에 3~5번 저지를 ..
warp는 macOS에서 terminal과 iterm2를 대체하기 위한 강력한 터미널 애플리케이션 입니다. 사실 갈수록 터미널을 사용할 일이 많이 없어지긴 하지만, 아직도 git 명령어나 ssh 접속을 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전 알게되자마자 다운받아 사용한지 이제 10일정도 되었는데, 간단한 기능 소개와 함께 사용 후기를 남겨보려고 합니다. 설치 방법 brew brew install warp 직접 다운로드 https://app.warp.dev/get_warp 첫인상 이게 IDE야 터미널이야? UI가 정말 이쁘고 기능이 다양합니다. 기존 맥 기본 terminal을 사용하시던 분들은 프로파일 기능 등 부족한 부분을 대신하기 위해 iterm2을 많이 사용하시는데요, 보통 oh-my-zsh을 ..
본 포스팅은 함께자라기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자라기 파트에서 감명깊게 본 부분, 다시 찾아봐야 할 것 같은 부분들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달인이 되는 비결 이전 포스팅에서도 가볍게 다루긴했지만, 단순한 일을 단지 오랜 시간 반복한다고해서 달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걷기, 양치질 등은 평생을 계속 하지만 "걷기의 달인"이라든지 "양치질의 달인"이라는 말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책에서는 자신이 오랫동안 해온 것 중 실제로 역량이 증가한 것과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가르는 차이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요소 중 하나는 바로 피드백 입니다. 걷기와 양치질은 아주 어렸을 때를 제외하고는 피드백을 받을 일이 없습니다. 어렸을 때는 피드백을 받으면서 걷기 실력과 양치질 ..
본 포스팅은 함께자라기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자라기 파트에서 감명깊게 본 부분, 다시 찾아봐야 할 것 같은 부분들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학습 대학교 때 코딩을 잘 하는 친구가 있고 성적이 높은 친구가 있었습니다. (둘 다 잘하는 친구도 있었지만 여기선 논외로 생각하겠습니다.) 이 두 친구의 차이점은 무엇이었을까요? 참고로 전 둘 다 못하는 학생이었고, 둘 다 잘하는 친구는 물론이거니와 둘 중 하나라도 잘 하는 친구가 너무 부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이 책에서는 학교 다닐 때 공부를 잘 했던 친구가 현실(실무)에서는 그 공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 대해 소개합니다. 그리고 학생 때 하는 학습을 학교 학습, 현실에서 하는 학습을 야생 학습이라고 구분합니다. 학교 학습 야생 학습 성격 개별적 협력적..
소스 코드는 여기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 있습니다. Problem You are given an integer array matchsticks where matchsticks[i] is the length of the ith matchstick. You want to use all the matchsticks to make one square. You should not break any stick, but you can link them up, and each matchstick must be used exactly one time. Return true if you can make this square and false otherwise. Example 1: Input: matchsticks = [1..
소스 코드는 여기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 있습니다. Problem Given an unsorted array of integers nums, return the length of the longest consecutive elements sequence. You must write an algorithm that runs in O(n) time. Example 1: Input: nums = [100,4,200,1,3,2] Output: 4 Explanation: The longest consecutive elements sequence is [1, 2, 3, 4]. Therefore its length is 4. Example 2: Input: nums = [0,3,7,2,5,8,4,6,0,1] Outp..
예전부터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다가 책을 구매한지 어느덧 세 달이 흐르고.. 블로그를 매일 포스팅하기 위해 억지로 무언가를 찾아내던 중, 모니터 앞에 놓여있는 "함께자라기"가 보였습니다. 늦은 시간에 읽기 시작했지만 새벽까지 정독을 완료하고 후기를 포스팅해야겠다고 마음먹어습니다. (이정도면 거의 블로그 포스팅 중독) 단순 후기 작성이 목적이 아니라 나중에 책을 다시 보지 않고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감명깊었던 부분들을 정리하는 목적으로 후기 겸 정리 스타트합니다! 이 글 자체는 아무런 도움이 안 될 확률이 굉장히 높으므로 1분 1초가 아까운 분들은 스킵을 권장합니다. (여기부터 짧은 후기) 책은 총 세 개의 파트로 나눠져 있습니다. 자라기 함께 애자일 먼저 각 파트에 대한 총 평을 짧게 요약하면, 자라..
Overview JPA의 데이터 타입은 크게 엔터티 타입(Entity Type)과 값 타입(Value Type)으로 나뉩니다.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ntity Type @Entity로 정의하는 객체로 식별자(@Id)로 계속 추적할 수 있습니다. 식별자를 제외한 속성들은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합니다. Value Type int, Integer, String 처럼 단순히 값으로 사용되는 primitive 타입이나 refenrece 타입을 말합니다. 식별자가 없고 값만 있기 때문에 변경시 추적이 불가능합니다. Value Type은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Primitive Type primitive 타입과 primitive 타입을 감싸는(boxing) wrapper typ..
고아 객체란? 부모 엔터티와 연관관계가 끊어진 자식 엔터티를 말합니다. 잔인하게도 JPA에서는 고아가 된 객체를 보육원에 맡기는 게 아니라 흔적도 없이 제거해 버릴 수 있습니다. 동작 방식 매핑 애너테이션의 속성 중 orphanRemoval을 true로 지정하면 됩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x.persistence.CascadeType; import javax.persistence.Column;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FetchType; import javax.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vax.p..
- Total
- Today
- Yesterday
- intellij
- 스프링 부트 회원 가입
- Spring Data JPA
- spring boot application
- gRPC
- Jackson
- 스프링부트
- 함께 자라기
- 스프링 부트
- 스프링 데이터 jpa
- 클린 아키텍처
-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
- QueryDSL
- 스프링 부트 튜토리얼
- leetcode
- 함께 자라기 후기
- 헥사고날 아키텍처
- r
- Java
- JSON
- spring boot jwt
- proto3
- 알고리즘
- Linux
- JPA
- @ManyToOne
- Spring Boot JPA
- Spring Boot Tutorial
- Spring Boot
- spring boot ap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