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드 더 잘 읽기: 코딩 중 겪는 혼란에 대한 이해
이 포스팅은 프로그래머의 뇌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Overview 코딩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혼란의 방식과 그 차이점을 이해하고, 코딩에서 작동하는 세 가지 인지 과정을 비교합니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인지 과정들이 어떻게 서로 보완적으로 작동하는지 이해합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늘 혼란이 일어납니다. 새로운 언어나 개념 또는 프레임워크를 배울 때 지레 겁부터 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코드, 자신이 오래 전에 작성한 코드를 다시 확인할 때, 그 코드가 왜 그렇게 작성되었는지 이해가 안 갈 수도 있습니다. 또는 새로운 도메인에서 일을 시작할 때 새로운 용어나 누적되며 쌓여온 히스토리 때문에 파악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혼란을 필요 이상으로 오래 가져가면 안 되겠죠? 따라서 책에..
Book/프로그래머의 뇌
2022. 7. 31. 10:30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226,133
- Today
- 34
- Yesterday
- 421
링크
TAG
- spring boot jwt
- 스프링 데이터 jpa
- spring boot app
- intellij
- proto3
- gRPC
- @ManyToOne
- 함께 자라기
- Spring Boot
- 스프링부트
-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
- 스프링 부트 튜토리얼
- 스프링 부트 회원 가입
- Java
- spring boot application
- Spring Boot Tutorial
- JSON
- QueryDSL
- leetcode
- Spring Data JPA
- 알고리즘
- 클린 아키텍처
- Linux
- 함께 자라기 후기
- 스프링 부트
- Jackson
- r
- 헥사고날 아키텍처
- Spring Boot JPA
- J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