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달 (Delivery)
- 전달 파이프라인 개선은 기존 시스템 장애 가능성을 줄이고, 문제 발생 시 빠른 롤백이 가능하게 함.
- CI(지속적 통합) 와 CD(지속적 전달) 의 경계는 흐릿하지만, 개념적으로 명확히 구분해야 함:
- CI는 산출물을 저장소에 저장할 때 종료
- CD는 그 시점부터 시작
- 목적의 차이:
- CI: 빠른 피드백, 자동 테스트, 병합 장려
- CD: 릴리스 주기 단축, 보안 준수, 유연한 배포
트래픽 관리
- 복원력은 장애를 예측하고 보상하는 구조에서 나옴
- 가용성 모니터링: 장애 발생 지점 파악
- 디버깅 가능성 모니터링: 장애 원인 분석
- 전달 자동화: 증분 릴리스에 대한 장애 억제
- 트래픽 관리 패턴은 실시간으로 장애에 대응할 수 있게 돕는 기술
모니터링 시스템 > 테스트 자동화
- 테스트는 완전하지 않으며, 커버리지 100%는 실현 불가능에 가까움
- 프로덕션 환경은 항상 다르게 행동함
- 모니터링 시스템은 예상 못한 장애까지도 포착 가능
- 테스트는 우리가 아는 것을 증명, 모니터링은 실제로 벌어지는 일을 보여줌
- 따라서 테스트보다 모니터링이 더 필수적
개인적으로 테스트 커버리지 100%를 지향하지만, 실무에서 프로덕션 환경에서만 드러나는 문제들을 경험하며 한계를 체감함. 성능 문제는 특히 코드만으로는 검증이 어려움.
캡슐화
- 캡슐화: 상태와 동작을 하나로 묶고 외부에 감추는 구조 (ex. 자바 클래스)
- 플랫폼 엔지니어링도 이와 유사:
- 개발팀(고객)의 책임을 줄이기 위해 정보를 은닉
- 최고의 칭찬: “그쪽 일은 신경 쓸 필요 없어요”
명시적 종속성 관리
- 런타임 종속성
- 주요 라이브러리는 메트릭, 태그, 트래픽 관리 패턴을 함께 구성
- 서비스 클라이언트 종속성
- 장애 대응 로직(fallback, retry 등)은 서비스 개발팀이 책임지는 것이 좋음
- 런타임 종속성 주입
- 배포 표준화가 전제
- 예: 스프링부트 앱에 플랫폼 메트릭 주입
- 도입 전략
- 파일럿 팀/앱 선정 → 원칙 적용 및 연습 → 일반화
서비스 메시
- 제어 플레인 + 사이드카를 아우르는 인프라 계층
- 트래픽 관리, 서비스 탐색, 모니터링을 담당하여, 애플리케이션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 가능
- 복잡도와 운영 비용을 줄여줌
❗ 사이드카에는 도메인 지식을 넣지 말자
복잡성 증가 및 유지보수 어려움 발생
➝ 공통 기능만 최소한으로 구현
결론
-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개발팀을 통제하는 것이 아님
- 고객 중심으로 도움을 주는 역할이어야 하며, 모든 도구와 프로세스는 관문이 아닌 가드레일이 되어야 함
'S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리케이션 메트릭: 미터 레지스트리 (0) | 2025.06.16 |
---|---|
애플리케이션 메트릭: 모니터링 관점과 메트릭 구조로 이해하기 (1) | 2025.06.15 |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모니터링 (0) | 2025.06.13 |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플랫폼 엔지니어링 문화 (2) | 2025.06.12 |
자바 마이크로서비스와 함께 살펴보는 SRE 실전 적용기 (3) | 2025.06.1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클린 아키텍처
- 헥사고날 아키텍처
- @ManyToOne
- Linux
- 함께 자라기
- r
- 알고리즘
- 스프링부트
- Spring Boot
- spring boot app
- 스프링 부트
- intellij
- leetcode
- JSON
- spring boot jwt
- 함께 자라기 후기
- proto3
- 스프링 부트 튜토리얼
- 스프링 부트 회원 가입
- Java
- Spring Boot JPA
- 스프링 데이터 jpa
- Spring Data JPA
- Spring Boot Tutorial
- QueryDSL
- JPA
- spring boot application
- Jackson
- gRPC
-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