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 코드는 여기 있습니다. (commit hash: e336ad7) > git clone https://github.com/lcalmsky/jpa > git checkout e336ad7 Overview 양방향 연관관계를 맺을 때 관리의 주체인 연관관계 주인에 대해 알아봅니다. 연관관계의 주인(Owner) 양방향 연관관계를 맺을 때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객체의 두 관계중 하나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지정 ex) Member 객체가 가진 Team이 주인이 될지 Team 객체가 가진 Members가 주인이 될지 정함 연관관계의 주인만 FK를 관리(등록, 수정 등)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가능 주인이 아닌 쪽에서 mappedBy 속성으로 주인 지정 그렇다면 두 관계 중 어떤 것을 주인으로 지정하는 게 타..
소스 코드는 여기 있습니다. (commit hash: e336ad7) > git clone https://github.com/lcalmsky/jpa > git checkout e336ad7 Overview 양방향 연관관계를 설명합니다. 객체 지향 모델링 양방향 연관관계는 객체가 서로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객체간의 관계는 아래 처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테이블 연관관계는 이전과 동일합니다. DB에서는 team_id 만으로도 Member를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테이의 연관관계에는 방향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FK 하나로 충분히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양방향 연관관계 구현 이전 포스팅에서 이미 단방향 연관관계를 구현해놓았기 때문에 양방향 관계를 맺기 위해선 Team 쪽..
- Total
- Today
- Yesterday
- Jackson
-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
- 클린 아키텍처
- leetcode
- 스프링 부트
- Spring Boot Tutorial
- 알고리즘
- gRPC
- 스프링 부트 튜토리얼
- spring boot jwt
- Java
- spring boot application
- r
- spring boot app
- Spring Boot JPA
- QueryDSL
- Spring Boot
- Linux
- 스프링 부트 회원 가입
- 함께 자라기
- JSON
- 헥사고날 아키텍처
- Spring Data JPA
- intellij
- 스프링 데이터 jpa
- 스프링부트
- 함께 자라기 후기
- JPA
- proto3
- @ManyToOn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